티스토리 뷰
목차
장애인 서비스, 이젠 '선택'할 수 있어야 합니다. 💡
정해진 서비스만 받을 수 있었던 과거와는 이제 작별할 시간!
'장애인 개인예산제 시범사업'을 통해 직접 나에게 맞는 서비스를 선택하고, 예산도 스스로 조절해 사용할 수 있어요! 🙌
장애인의 삶에 진짜 도움이 되는 맞춤형 제도, 지금부터 함께 알아봐요 👇
무엇을 위한 제도인가요? 🤔
이 사업은 장애인의 선택권을 보장하고, 기존의 획일적인 서비스 구조를 바꿔
보다 유연하고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작되었어요 💪
기존 4개 바우처(활동지원·성인주간·청소년 방과후·발달재활)를 하나로 묶고, 그 총 급여의 20% 이내에서 자율적으로 서비스 선택이 가능합니다!
누가 참여할 수 있나요? 👥
✅ 아래의 4개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받고 있는 분!
👉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
👉 발달장애인 성인 주간활동
👉 발달장애인 청소년 방과후활동
👉 발달재활서비스 수급자
⚠ 단, 시범사업 17개 참여 지자체 거주자만 참여 가능하며,
당사자의 신청 후 선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참여가 확정됩니다.
어떤 혜택이 있나요? 🎁
💸 본인이 받는 바우처 총액의 20% 이내 범위에서 자율 서비스 이용 가능
📋 개인별 이용계획 수립 → 시군구 위원회와 합의 → 이용 시작!
📆 6개월 단위로 이용하며, 매달 급여 정산이 이뤄집니다.
신청 방법은요? 📝
📍 참여 지자체의 시군구청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
📍 '개인예산제 참여 신청서' 작성 후 제출
📍 선정위원회 심의 후 → 계획 수립 → 서비스 이용까지 단계별 진행
📞 궁금한 점은 복지상담센터 129로 문의해보세요!
지원 요약표 🗂️
항목 | 내용 |
---|---|
지원대상 | 활동지원, 발달장애 성인·청소년 서비스 또는 발달재활 수급자 |
지역 조건 | 2025년 기준 시범사업 참여 17개 지자체 내 거주 |
지원 방식 | 총 바우처 급여의 20% 내 자율적 서비스 선택 |
신청 절차 | 방문 접수 → 위원회 심의 → 계획 수립 → 이용 시작 |
급여 정산 | 월 1회 정산 |
문의처 | 복지상담센터 129 |
Q&A 💬
Q1. 서울이나 부산 거주자도 신청 가능한가요?
A1. 시범사업 참여 지자체만 가능합니다. 관할 지자체에 확인해주세요.
Q2. 활동지원 바우처만 받고 있어도 참여할 수 있나요?
A2. 네, 위 조건 중 하나만 충족돼도 신청할 수 있어요.
Q3. 어떤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나요?
A3. 본인이 필요로 하는 복지서비스 중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어요.
Q4. 자동으로 신청되나요?
A4. 아니요! 당사자가 직접 신청하고, 심의를 거쳐야 참여 가능합니다.
Q5. 향후 정식 제도로 확대될 수 있나요?
A5. 네, 시범사업 결과에 따라 전국 확대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에요!
마무리하며 🌈
장애인의 삶도 이제는 '주체적인 선택'이 가능한 시대입니다 🧍♂️🧍♀️
'내가 진짜 원하는 복지'를 고를 수 있는 개인예산제!
지금 참여해서 누구보다 먼저 경험해 보세요 👏
작지만 강력한 이 변화는 여러분의 일상에 꼭 필요한 도움이 될 거예요 💖
👇 아래 버튼을 눌러 신청 정보를 바로 확인하세요!
함께 보면 좋은 글
아침식사 거르지 않고 챙겨 드시나요?
아침은 하루를 여는 가장 중요한 식사입니다.그런데 바쁜 일상 속에서 아침을 대충 때우거나심지어 아예 거르는 분들도 많으시죠.하지만 건강한 아침 식사는 신체 기능을 깨우고,두뇌 활동을
all.kyoungwebsite.com
오늘 밤 음식 하나로 더 잘 잘 수 있을지도 몰라요
밤마다 뒤척이고, 자고 나도 피곤하고…‘잠이 보약’이라지만, 매일같이 숙면을 취하는 건 쉽지 않죠.그런데 의외로 ‘무엇을 먹느냐’에 따라 수면의 질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
all.kyoungwebsite.com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폰 콘텐츠 이용료 안전하게 설정하는 법 (0) | 2025.04.10 |
---|---|
맞춤형 급여안내 복지멤버십 이란? (0) | 2025.04.10 |
전국민 마음 투자 지원 사업 마음 건강도 챙기세요 (1) | 2025.04.10 |
농촌 유학 지원사업 어떻게 신청하나요? (2) | 2025.04.10 |
연수구 산후조리비용 지원사업 (0) | 2025.04.10 |